2025. 7. 9. 21:56ㆍ카테고리 없음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사업장에서만 사용 가능해요.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등 많은 곳에서 사용이 제한되는데, 생각보다 헷갈리는 업종들이 많아요.
특히 프랜차이즈 직영점과 가맹점의 차이, 배달앱 사용 가능 여부, 대형 외국계 매장 등 애매한 경우가 많아서 정확히 알아둘 필요가 있어요. 사용불가 업종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했으니 참고하세요.
🏬 대형마트·백화점·면세점
가장 많이 헷갈려하시는 부분이에요!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백화점, 면세점에서는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어요.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같은 대형마트는 당연히 안 되고, 이마트 에브리데이나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같은 기업형 슈퍼도 사용 불가예요.
백화점도 마찬가지예요.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 등 모든 백화점에서 사용할 수 없어요. 백화점 내 입점 매장도 전부 사용 불가! 아웃렛도 백화점으로 분류되니까 주의하세요. 면세점은 말할 것도 없죠!
그럼 어디서 장을 봐야 하냐고요? 동네 슈퍼마켓이나 전통시장을 이용하세요!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인 개인 슈퍼나 마트는 사용 가능해요. 농협 하나로마트도 일부 면 지역(약 125곳)에서만 예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답니다.
🛒 사용불가 대형 유통점
구분 | 사용불가 매장 | 대안 |
---|---|---|
대형마트 |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 동네 슈퍼마켓 |
기업형 슈퍼 | 이마트24, GS25, CU (일부) | 개인 편의점 |
백화점 | 롯데, 신세계, 현대백화점 | 전통시장 |
💻 온라인·배달앱 사용불가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절대 사용할 수 없어요! 쿠팡, 11번가, G마켓, 네이버 쇼핑 등 모든 온라인 쇼핑몰이 사용 불가예요. 오프라인 매장이 있는 브랜드라도 온라인몰에서는 결제가 안 돼요.
배달앱도 마찬가지예요!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모든 배달앱에서 사용할 수 없어요. "그럼 배달 음식은 아예 못 먹나요?"라고 물으실 수 있는데, 방법이 있어요! 배달앱으로 주문하되, 결제는 '만나서 결제'를 선택하고 배달 기사님을 만나서 가맹점 자체 단말기로 결제하면 사용 가능해요!
쇼핑몰, 배달앱의 경우 '만나서 결제'는 가능하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하지만 모든 가게가 만나서 결제를 지원하는 건 아니니까 주문 전에 확인해 보는 게 좋아요. 번거롭긴 하지만 소비쿠폰을 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에요! 😊
☕ 프랜차이즈 직영점
프랜차이즈 직영점도 사용할 수 없어요! 여기서 중요한 건 '직영점'이라는 거예요. 편의점, 빵집, 카페 등 프랜차이즈 브랜드라도 가맹점은 사용 가능하지만, 본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직영점은 사용 불가예요.
대표적인 예가 스타벅스예요! 스타벅스는 대부분 직영점이라서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어요. 반면 이디야커피, 메가커피 같은 가맹점 형태의 카페는 사용 가능해요. 파리바게뜨, 뚜레쥬르도 가맹점은 OK, 직영점은 NO!
어떻게 구분하냐고요? 매장 입구나 카운터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스티커가 붙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정부에서 사용 가능 매장에는 스티커를 부착하도록 했거든요. 헷갈리면 직원에게 물어보는 게 제일 확실해요!
☕ 프랜차이즈 사용 가능 여부
업종 | 사용불가 (직영점) | 사용가능 (가맹점) |
---|---|---|
카페 | 스타벅스 | 이디야, 메가커피 |
베이커리 | 직영 파리바게뜨 | 가맹 파리바게뜨 |
편의점 | 직영 GS25 | 가맹 GS25 |
🎰 유흥·사행·환금성 업종
유흥업종과 사행업종은 당연히 사용할 수 없어요! 유흥주점, 단란주점, 나이트클럽 같은 유흥업소는 모두 사용 불가예요. 노래방은 일반 노래방은 사용 가능하지만, 유흥주점으로 분류되는 노래방은 안 돼요.
사행업종도 마찬가지예요. 카지노는 당연히 안 되고, 복권방도 사용할 수 없어요! 로또, 스포츠토토, 경마, 경륜 등 모든 사행성 업종이 제외돼요. 성인 오락실, 성인 PC방 같은 곳도 사용 불가예요.
환금성 업종도 주의하세요! 금, 은, 보석 등을 파는 귀금속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요. 상품권이나 기프티콘을 판매하는 곳도 마찬가지예요. 이런 곳들은 현금화가 쉬워서 제외됐어요. 시계나 액세서리 가게는 귀금속이 아니면 사용 가능해요!
🚫 기타 사용불가 업종
대형 외국계 매장도 사용할 수 없어요! 이케아(IKEA), 코스트코 같은 대형 외국계 매장은 전부 사용 불가예요. 특히 명품 브랜드나
사치품을 파는 매장들도 안 돼요. 에이치앤엠(H&M), 자라(ZARA) 같은 글로벌 SPA 브랜드 매장도 사용할 수 없답니다.
대형 전자제품 판매점도 주의하세요! 하이마트, 전자랜드 같은 대형 전자제품 전문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요. 삼성디지털플라자, LG베스트샵 같은 브랜드 직영 매장도 마찬가지예요. 동네 작은 전자제품점은 사용 가능하니까 참고하세요!
그 외에도 사용할 수 없는 업종들이 있어요. 세금이나 공과금 납부는 당연히 안 되고, 통신요금이나 보험료 같은 정기 납부금도 사용 불가예요. 아파트 관리비, 전기료, 가스비 등도 마찬가지예요.
교통 관련 업종도 주의하세요! 고속도로 통행료, 주차장 요금, 대중교통 요금 등에는 사용할 수 없어요. 주유소나 충전소도 안 돼요. 자동차 정비소는 사용 가능하니까 참고하세요!
의료 관련은 좀 복잡해요. 병원이나 약국은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보험 적용이 안 되는 미용 목적의 시술(성형외과, 피부과 미용시술 등)은 사용 불가예요. 일반 진료나 처방약은 OK, 미용 목적은 NO라고 기억하세요!
🚫 기타 사용불가 항목 총정리
구분 | 사용불가 업종 | 예시 |
---|---|---|
대형 외국계 | 외국계 대형매장, SPA브랜드 | 이케아, H&M, 자라 |
전자제품 | 대형 전자제품점 | 하이마트, 전자랜드 |
공과금 | 세금, 공공요금 | 전기, 가스, 수도 |
교통/통신 | 교통요금, 통신비 | 통행료, 휴대폰요금 |
금융 | 보험, 금융상품 | 보험료, 대출상환 |
💡 헷갈리기 쉬운 사례
실제로 많이 헷갈려하시는 사례들을 정리해봤어요. 편의점은 정말 복잡해요! GS25, CU, 세븐일레븐 같은 편의점은 가맹점은 사용 가능하지만, 직영점은 사용 불가예요. 어떻게 구분하냐고요? 매장에 스티커가 있는지 확인하거나 직원에게 물어보세요.
대형마트 내 입점 매장도 헷갈려요. 예를 들어 이마트 안에 있는 다이소, 올리브영 같은 매장들도 전부 사용 불가예요! 대형마트 건물 안에 있으면 다 안 된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하지만 길거리 단독 매장 다이소나 올리브영은 사용 가능해요!
학원은 사용 가능하지만, 온라인 강의는 안 돼요. 오프라인 학원에서 현장 결제만 가능해요. 헬스장이나 요가원 같은 체육시설도 사용 가능하지만, 골프장은 안 돼요. 미용실은 OK, 피부과 미용시술은 NO! 이런 식으로 구분하시면 돼요.
소비쿠폰 사용불가 업종, 이제 확실히 아셨죠? 생각보다 제한이 많아서 불편할 수 있지만,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취지를 생각하면 이해가 돼요. 동네 가게를 이용하면서 지역경제도 살리고, 혜택도 받는 일석이조! 11월 30일까지니까 서둘러 사용하세요! 💪
❓ FAQ
Q1. 편의점에서는 다 사용 가능한가요?
A1. 아니에요! 가맹점은 가능하지만 직영점은 불가능해요. 매장 스티커를 확인하세요!
Q2. 온라인으로는 정말 아무것도 못 사나요?
A2. 네, 온라인 결제는 전면 불가예요.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해요.
Q3. 배달음식은 어떻게 먹나요?
A3. '만나서 결제' 옵션으로 주문하고, 배달원 만나서 가맹점 단말기로 결제하면 돼요!
Q4. 대형마트 안 푸드코트는요?
A4. 대형마트 건물 안은 전부 사용 불가예요. 푸드코트도 마찬가지!
Q5. 병원은 다 되나요?
A5. 일반 진료는 가능하지만, 미용 목적 시술(성형, 피부 미용 등)은 불가예요.
Q6. 주유소는 왜 안 되나요?
A6. 유류 관련 업종은 제외 대상이에요. 자동차 정비소는 사용 가능해요!
Q7. 학원비는 되는데 대학 등록금은 왜 안 되나요?
A7. 사설 학원은 소상공인으로 분류되지만, 대학은 교육기관이라 제외예요.
Q8. 사용 가능한 곳 어떻게 찾나요?
A8.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스티커가 붙은 매장을 찾으세요! 지자체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해요.